실검에 오른 '10리(십리)'의 정보입니다.
'10리'는 거리의 정보적 의미를 갖습니다.
[거리변환표]
'리(里)'는 고대 중국 척관법의 영향을 받은 계산법으로, 한자어 '마을 리(里)'를 사용합니다.
보통 마을과 마을 사이의 거리이기 때문에 '리(里)'라고 합니다.
대략적인 거리는 약 400미터 정도인데요, 참고할 사항으로 조선시대의 '리(里)'와 일제시대의 '리(里)'는 거리가 약간 다르다는 점이 있습니다.
현재 사용되는 '리(里)' 단위는 일본의 것이며, '1 리(里)'는 0.392727km(약 400미터)입니다.
그리고 조선시대의 '1 리(里)'는 450미터 정도 입니다.
우리나라는 일제치하의 과정에서 일본식 계량법을 따르게 되었습니다.
일본은 원래 고대 중국식 척관법을 적용하던 나라였지만, 메이지유신을 기점으로 이전의 척관법 사용을 자제하고 '국제미터협약'에 근거한 계량법을 만들어 냈습니다.
(국제 미터법은 1875년 체결되었습니다)
우리나라도 1905년 대한제국법률 1호로 '도량형 규칙'을 제정하고 척관법과 미터법을 혼용하도록 했습니다. (물론 일본의 힘이 작용한 부분입니다)
이후 해방 뒤 1961년부터는 세계적 추세에 맞추기 위해 미터법만 사용하도록 법이 제정되었으며, 1964년 1월 1일부터는 특수한 상황을 제외한 모든 계량에는 척관법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였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건물이나 토지 계산에 사용하고 있는 '평(坪)' 또한 척관법 표기입니다.
1983년부터 토지 건물에 사용되는 '평(坪)'의 표기를 금지하고 미터법으로 표기하도록 하였는데, 아직까지도 많은 사람들이 미터보다는 '평(坪)'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아직도 상당수의 나라에서는 미터법보다 독자적인 계량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국제적 추세를 따르는 것도 좋지만, 그보다 더 많은 자국민들이 편하게 계산할 수 있는 계량법이 있다면 굳이 사용을 금지할 필요는 없지않나 싶습니다.
[거리변환표]
'리(里)'는 고대 중국 척관법의 영향을 받은 계산법으로, 한자어 '마을 리(里)'를 사용합니다.
보통 마을과 마을 사이의 거리이기 때문에 '리(里)'라고 합니다.
대략적인 거리는 약 400미터 정도인데요, 참고할 사항으로 조선시대의 '리(里)'와 일제시대의 '리(里)'는 거리가 약간 다르다는 점이 있습니다.
현재 사용되는 '리(里)' 단위는 일본의 것이며, '1 리(里)'는 0.392727km(약 400미터)입니다.
그리고 조선시대의 '1 리(里)'는 450미터 정도 입니다.
우리나라는 일제치하의 과정에서 일본식 계량법을 따르게 되었습니다.
일본은 원래 고대 중국식 척관법을 적용하던 나라였지만, 메이지유신을 기점으로 이전의 척관법 사용을 자제하고 '국제미터협약'에 근거한 계량법을 만들어 냈습니다.
(국제 미터법은 1875년 체결되었습니다)
우리나라도 1905년 대한제국법률 1호로 '도량형 규칙'을 제정하고 척관법과 미터법을 혼용하도록 했습니다. (물론 일본의 힘이 작용한 부분입니다)
이후 해방 뒤 1961년부터는 세계적 추세에 맞추기 위해 미터법만 사용하도록 법이 제정되었으며, 1964년 1월 1일부터는 특수한 상황을 제외한 모든 계량에는 척관법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였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건물이나 토지 계산에 사용하고 있는 '평(坪)' 또한 척관법 표기입니다.
1983년부터 토지 건물에 사용되는 '평(坪)'의 표기를 금지하고 미터법으로 표기하도록 하였는데, 아직까지도 많은 사람들이 미터보다는 '평(坪)'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아직도 상당수의 나라에서는 미터법보다 독자적인 계량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국제적 추세를 따르는 것도 좋지만, 그보다 더 많은 자국민들이 편하게 계산할 수 있는 계량법이 있다면 굳이 사용을 금지할 필요는 없지않나 싶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