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검에 오른 '도도새' 의 정보입니다.

'도도새'는 비둘기목 도도과의 멸종된 새입니다.








'도도새'는 인간의 잔인함과 외래종 유입의 무서움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그리고 그 내용을 보면 약간의 바보같음을 보여주기도 합니다.


'도도새'는 인도양의 모리셔스라는 섬에 서식했던 새입니다.

칠면조보다 크며, 몸무게는 23KG 정도에 달했던 비교적 큰 새입니다.

'도도새'는 주로 과일을 먹고 자랍니다.

그런데 '도도새'라는 이름은 포르투갈어로 '어리석다'라는 뜻입니다.
왜냐하면 도도새는 별다른 위험요소가 존재하지 않았던 모리셔스섬의 평화 속에서 날개가 퇴화되어 날 수 없게 되었고, 사람이 다가와도 무서워하지도 않고 도망가지도 않았기 때문입니다.


1505년 포루투갈인들이 최초로 모리셔스 섬에 도착한 이후, 그 섬은 세계 여러나라들의 중간 경유지 역할을 했습니다.

도도새들은 이전까지 별다른 위험요소가 없는 평화속에서 살았기 때문에 외부생물인 선원들이 들어와도 무서워하지 않고 오히려 가까이 가기도 했습니다.

그런 도도새는 선원들에게 좋은 식량이 되었습니다....만?
그런데 네덜란드 선원의 기록에 보면 '도도새'는 맛이 너무 없어서 '더러운 새(Walgvogel)'로 불렸습니다.
그래서 당시 네덜란드 선원들의 성향이나 지식수준을 보아, 재미로 도도새를 죽였거나 가축의 먹이로 줬을 확률이 높다고 합니다.

그와 더불어 선원들의 배를 타고 들어온 쥐, 원숭이, 돼지 등의 동물들은 도도새와 도도새의 알들을 손쉽게 잡아먹을 수 있었습니다.

결국 '도도새'는 최초로 사람이 들어온 지 약 100년만에 멸종위기에 처했고, 1681년에 마지막 도도새가 죽었습니다.


도도새의 멸종이 단지 1종(種)의 멸종이었으면 그냥 불쌍한 도도새...로 끝날 일입니다.

하지만 도도새는 모리셔스 섬에 있는 희귀종의 나무를 탄생시키는 결정적 역할을 해왔습니다.

도도새는 그 나무의 열매를 먹고 살았고, 그 열매의 씨앗이 도도새의 소화기관을 따라 배출되어야만 성장할 수 있는 구조였습니다.

당연히 도도새가 멸종된 뒤에 그 나무는 300년 동안 새 나무를 키워내지 못했으며, 인간은 그 사실을 300년 가까이 되어서야 알아차렸습니다.

그러나 다행히 칠면조의 소화기관이 도도새와 비슷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고, 이에 칠면조를 이용해 그 나무를 번식시키고 있습니다.

그 나무의 평균수명은 300년입니다.
자칫 잘못했으면 그 나무마저 멸종될 뻔 했습니다.


사람들은 이제 그 나무를 '도도나무'라고 부릅니다.

댓글